엔진오일은 엔진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엔진오일은 윤활작용을 통해서 엔진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내부 마찰을 줄이고, 피스톤 링과 실린더 벽 사이의 미세한 틈을 메꿔서 연소실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 밖에도 엔진오일은 엔진 내부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오일필터에 모아서 엔진자체를 보호하기도 하고, 여러 엔진기구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도록 필요한 유압을 형성시키는 것도 엔진오일의 역할중의 하나이다. 이처럼 엔진오일은 엔진이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돕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부품에 비해 보다 더 체계적인 성능 기준이 적용되고 있다.
SAE 기준 점도
엔진오일의 주요한 성능 지표중의 하나가 바로 점도 지수이다. 이 지수는 온도에 따라 엔진오일의 점성이 변하는 정도를 나타낸다. 점성 변화 폭이 적을 수록 이 점도 지수는 높아진다. 대개 이 점도 지수는 미국자동차공학회에서 정한 SAE기준을 따르고 있는데, '0W-30, 5W-20'과 같은 방식의 'OW-OO'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 표기에서 W는 겨울을 뜻하고 있는데, W앞의 숫자가 0에 근접하면 할 수록 더 낮은 온도에서 묽은 성질을 유지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동성이 좋다. 이 숫자는 0W에서 5단위로 커지며 승용차의 경우에는 대개 0W에서 10W 사이의 점도지수를 사용한다. 만약 차량을 20도 아래의 추운 조건에서 운행한다면 0W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지수를 나타내는 W 뒤에 표기된 숫자는 고온에서의 점도 유지 능력을 나타내고 있다. 이 숫자는 클수록 점도가 높고 엔진보호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을 나타낸다. 즉 추운 날씨에는 저온 점도가 낮은 엔진오일이 엔진 내부에 빠르게 퍼져나가서 유막이 좀 더 쉽게 형성되고, 더운 날씨에서는 고온 점도 지수가 높은 엔진오일이 유막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는 것이다.
차는 일반적으로 차종이나 엔진에 따라 속도나 온도, 부하 정도 등 과 같이 각기 요구되는 조건이 다르고 이 때문에 이에 맞는 엔진오일의 점도도 정해져 있다. 만약 엔진오일이 너무 묽을 경우에는 엔진 내벽에 충분한 윤활막을 형성시키지 못하기 때문에 엔진을 보호할 수 있는 엔진오일의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반대로 엔진오일이 너무 빡빡할 경우에는 엔진내부의 부하가 커져서 엔진 자체의 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자동차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권장치를 기준으로 엔진오일의 점도를 설정해야 이런 문제들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
엔진오일 등급에 대한 두 가지 기준 API, ACEA
엔진오일을 선택할 때에는 엔진오일의 점도뿐만 아니라 엔진오일의 등급도 함께 살펴봐야 한다. 만약 등급에 맞지 않는 엔진오일을 사용하게 되면 엔진자체나 배기가스 정화장치 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엔진오일 등급은 미국석유협회가 제정한 API 규격과 유럽자동차제조협회에서 제정한 ACEA규격을 따른다.
API 규격에서는 가솔린 엔진오일 규격과 디젤엔진오일 규격 및 연료 효율을 개선헌 저점도용 디젤 엔진오일 규격인 FA-4를 포함해서 총 11가지로 구분해놓고 있다. 이렇게 다양하게 구분된 이유는 엔진기술이 발전하고 환경규제가 더 심해지면서 엔진오일에 꾸준한 성능 향상이 요구됐고, 이런 성능 기준을 만족하는 강화된 엔진오일 규격이 추가됐기 때문이다. 이 규격에 의하면 가솔린 엔진오일은 2020년 새로 등장한 SP가, 디젤 엔진오일은 CK-4와 FA-4가 가장 최신 등급이다.
한편, API규격은 연료 효율 및 내구성 개선 등 11개 이상 평가 항목에 합격한 엔진오일을 구분시켜놨다. 이는 미국 자동차 제조협회와 일본 자동차 제조협회가 제정한 ILSAC 규격을 따른 것이다.
일반적으로 API에서는 최신 규격일수록 더 좋은 성능의 엔진오일을 의미하는 반면, ACEA규격은 유럽 자동차 시장의 특성에 맞춰 사용 연료나 운전 성향 등을 고려한 엄격하고 세분화된 기준이 적용된다. 이는 ACEA규격이 정립된 유럽에서는 디젤 승용차가 보편화되어서 이에 따른 엔진오일의 구분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한편 ACEA에서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 적용에 의해 A/B카테고리와 C카테고리로 구분하는 이유는 엔진오일 첨가물인 황산화분, 인, 황과 관련이 있다. 이런 성분들은 마모방지 성능을 극대화하지만 엔진에서 연소될 경우에는 DPF 성능을 감소시키거나 손상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배기가스 후처리장치가 작용된 차량의 경우 이런 성분들의 함유량을 최적화한 C카테고리 엔진오일 사용을 구분하고 있다.
자동차 제조사가 권장하는 엔진오일 규격
일부 자동차 제조사에서는 API, ACEA 규격이 아닌 자체적으로 규정한 엔진오일 규격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 규격들은 BMW LL-04, MB 229.31 등과 같이 임의대로 정한 알파벳과 숫자로 표기한다. 같은 모델이라 하더라도 차의 연식에 따라 엔진오일 규격이 다를 수 있으므로, 엔진오일을 선택할 때는 자동차 제조사에서 권장하고 있는 엔진오일의 규격이나 점도를 필히 확인하고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진오일은 차량의 성능이나 안전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소모품이다. 사용하고 있는 차에 가장 적합한 엔진오일이 어떤 제품인지 미리 알고 있다면 보다 더 쉽게 차량을 관리할 수 있다. 또 엔진오일의 교환주기를 놓치지 않고 적당한 시기에 교체한다면, 엔진을 보다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상식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드미러의 변천사 (0) | 2021.09.23 |
---|---|
타이어 바로알기 (0) | 2021.09.15 |
타이어와 휠의 기능 (0) | 2021.09.07 |
자동차 제조공정 및 각 생산기술 (0) | 2021.08.20 |
여름철 차량 관리법 (0) | 2021.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