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브레이크는 운전 중인 자동차의 속도를 줄이거나 또는 주행을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 탑승자를 보호하는 안전장치 중의 하나이다. 이 브레이크는 운전자의 조작과 보조 동력에 의해 발생된 마찰력으로 자동차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 등으로 전환시켜서 제동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종류
1. 형태에 따른 종류
1) 디스크 브레이크
원판 브레이크로도 불리우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작동시 자동차 바퀴에 부착된 디스크의 양면에 패드를 눌러 붙여서 발생되는 마찰에 의해 제동력을 얻는다.
디스크 브레이크의 주요 부품으로는 디스크, 마찰 패드, 유압으로 구동되는 휠 실린더, 휠 실린더가 들어 있는 캘리퍼가 있다.
이 브레이크는 디스크가 공기 중에 노출되어 있는 형태이기 때문에 마찰시 일어나는 열을 발산하기 쉽고 반복성도 우수해서 제동력 저하가 쉽게 일어나지 않아 안정된 제동력을 제공하는 것이 장점이다. 그리고 구조 자체가 간단해서 패드 교환과 같은 정비나 점검 등도 쉽게 이루어지는 편이다. 반면에 패드 면적이 작아서 높은 유압이 발생해야 충분한 제동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또한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빗물이나 먼지 등에 오염되기 쉽다.
2) 드럼 브레이크
드럼 브레이크는 브레이크슈, 휠 실린더, 백플레이트, 브레이크 드럼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 페달을 밟으면 확장기구에 의해 브레이크슈가 넓어지면서 드럼 내면과 접촉되고, 그에 따라 브레이크슈에 장착된 라이닝이 드럼 내면과 마찰되면서 그 마찰력에 의해 바퀴가 멈추는 방식이다.
이 브레이크의 경우 가격이 저렴하고, 마찰효율이 높으며 핵심 부품인 마찰 라이닝 수명이 길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라이닝을 분리하거나 또는 장착하는 작업이 어렵다는 단점도 있다.
드럼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는 곳은 대형자동차의 바퀴와 승용차의 뒷바퀴 등이다.
2. 용도및 조작에 따른 분류
1) 풋 브레이크
운전자가 주행 중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브레이크로 말 자체가 의미하는 것처럼 발을 이용해서 조작하는 브레이크이다.
2) 엔진 브레이크
현재 기어의 상태를 보다 더 낮은 상태로 변속해서 회전 관성을 줄이는 제동 방식으로 사용된다.
3) 사이드 브레이크
주차 브레이크 또는 핸드 브레이크로도 불리우는 사이드 브레이크는 장시간 동안 차량을 정차하거나 주차할 때 사용한다. 대개의 경우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식 및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F1 대회의 세계 (0) | 2021.11.29 |
---|---|
차량용 블랙박스(EDR) (0) | 2021.11.25 |
하이브리드 자동차 역사 (0) | 2021.11.22 |
지프 - 전쟁터를 누빈 자동차 (0) | 2021.11.19 |
안전 벨트 역사 (0) | 2021.11.18 |
댓글